
달을 보다 보면 아이가 이렇게 물을 수 있어요.
“엄마, 달은 왜 항상 똑같이 보여요? 뒷면은 어디 갔어요?”
이 글에서는 달의 뒷면을 왜 볼 수 없는지를
아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볼게요.
🌕 결론부터 간단히!
우리가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 이유는,
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속도와 달이 스스로 도는 속도가 같기 때문이에요.
이 현상을 “동주기 자전”이라고 불러요.
그래서 항상 같은 면만 지구를 향하고,
달의 반대쪽 뒷면은 지구에서는 볼 수 없게 되는 거죠.
🔍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?
달도 지구처럼 자전(스스로 돎)을 하고 있고,
동시에 공전(지구 주위를 돎)도 하고 있어요.
그런데 신기하게도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똑같아요.
약 27.3일 동안 한 번 자전하고, 같은 시간에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거죠.
그래서 달은 항상 같은 얼굴만 지구를 바라보게 되는 것이에요.
🔬 동주기 자전 이란?
동주기 자전은 천체가 공전과 자전을 같은 주기로 하는 현상이에요.
달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동기화되어 이런 방식으로 움직이게 됐어요.
수억 년 전에는 달도 지금보다 더 빠르게 자전했지만,
지구와의 중력 작용으로 점점 자전이 느려져 지금은 딱 맞아떨어지게 된 거예요.
🌙 달의 뒷면은 존재하지 않는 게 아니에요!
달의 뒷면은 실제로 존재하지만 지구에서는 맨눈으로 볼 수 없어요.
우주 탐사선이나 인공위성으로만 달의 뒷면을 촬영해서 알게 된 것이죠.
1959년, 옛 소련의 루나 3호가 달의 뒷면을 처음 촬영했고,
지금은 NASA 등의 자료를 통해 달의 뒷면 모습도 관찰할 수 있어요.
🧒 아이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
- “달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동안 자기도 한 바퀴 돌아요.”
- “그래서 우리한테는 항상 같은 면만 보여요.”
- “달의 뒷면은 있어요. 우리가 못 볼 뿐이고, 우주에서 사진으로 찍었어!”
🌌 달이 항상 같은 모양인 것도 같은 원리예요
달이 항상 비슷한 모습으로 떠 있는 것도,
달의 자전과 공전이 같은 주기이기 때문이에요.
달의 위상(초승달, 반달, 보름달)은 태양빛을 받는 각도에 따라 변하지만,
우리가 바라보는 달의 앞면 자체는 항상 같아요.
✅ 요약
- 달의 자전과 공전 주기가 같아서 항상 같은 면만 보인다
- 이 현상을 동주기 자전이라고 한다
- 달의 뒷면은 존재하지만 지구에서는 볼 수 없다
- 우주 탐사로만 달의 뒷면을 관찰할 수 있다
달의 뒷면을 왜 볼 수 없을까?라는 질문은
단순한 호기심처럼 보이지만,
그 속에는 우주와 중력, 천체의 움직임이 담긴 깊은 과학 이야기가 숨어 있어요.
아이와 함께 달을 보며, 우주 속 숨은 면을 상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!
대표 키워드: 달의 뒷면, 달이 같은 면만 보이는 이유, 동주기 자전, 달 자전 공전, 아이 과학 질문